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마부작침 뜻 의미

by 7토박이 2025. 2. 14.
반응형

'마부작침(摩斧作針)'은 '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끈기 있게 노력하면 결국 이루어진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유래

이 사자성어의 유래는 당나라의 시인 이백(李白)의 어린 시절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어린 이백은 공부에 싫증을 느껴 스승 몰래 산을 내려오던 중, 냇가에서 도끼를 갈고 있는 노파를 만났습니다. 이백이 노파에게 "도끼로 바늘을 만든다고요?"라고 묻자, 노파는 "중도에 그만두지만 않으면 언젠가는 바늘이 된다"고 답했습니다. 이 말을 들은 이백은 큰 깨달음을 얻어 다시 학문에 정진하게 되었다고 전해집니다.

 

[이형로의 고사성어로 보는 세상] (32) 대입수능과 磨斧作針(마부작침), 舍人從蛙(사인종와) - 인사이드비나

 

[이형로의 고사성어로 보는 세상] (32) 대입수능과 磨斧作針(마부작침), 舍人從蛙(사인종와) - 인

봄꽃만큼이나 화려하던 단풍잎은 어느덧 낙엽이 되어 찬바람에 흩어졌다. 살얼음이 얼기 시작하고 첫눈이 내린다는 소설(小雪)도 지났다. 이제 본격적인 겨울로 접어들자 팬데믹 코로나19는 전

www.insidevina.com

 

의미와 교훈

'마부작침'은 꾸준한 노력과 인내를 통해 불가능해 보이는 일도 성취할 수 있다는 교훈을 전합니다. 이는 '우공이산(愚公移山)'과 같은 다른 사자성어와도 유사한 의미를 공유합니다.

비슷한 사자성어

  • 우공이산(愚公移山): 어리석은 노인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끈기와 노력을 강조하는 사자성어입니다.
  • 수적천석(水滴穿石): 물방울이 바위를 뚫는다는 뜻으로, 지속적인 노력이 큰 성과를 이룬다는 의미입니다.

 

예문

  • 그)는 마부작침의 자세로 매일 연습하여 마침내 프로 선수가 되었다.
  • 어려운 상황에서도 마부작침하며 목표를 향해 나아갔다.

이처럼 '마부작침'은 끈기와 노력을 통해 어려움을 극복하고 목표를 달성하는 자세를 강조하는 사자성어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