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부딪히다 부딪치다 사용법

by 7토박이 2025. 3. 6.
반응형

한국어에서 자주 혼동되는 표현 중 하나가 바로 부딪히다부딪치다입니다. 두 단어는 비슷한 발음과 유사한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는 사용되는 문맥과 의미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두 단어의 정확한 뜻과 올바른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부딪히다의 의미와 사용법

부딪히다는 주로 피동적인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즉, 어떤 사물이나 사람이 외부 요인에 의해 충돌하거나 닿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가 벽에 부딪혔다"는 문장은 자동차가 외부의 힘에 의해 벽과 충돌한 상황을 설명합니다. 이 표현은 주로 사고나 예상치 못한 충돌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사용 예시:

  • 그는 길을 걷다가 다른 사람과 부딪혔다.
  • 바람에 문이 닫히면서 벽에 부딪혔다.

 

[알고 쓰는 말글]‘부딪히다’와 ‘부딪치다’ - 경향신문

 

[알고 쓰는 말글]‘부딪히다’와 ‘부딪치다’

‘부딪치다’는 ‘부딪다’에 강조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치’가 결합됐다. 반면 ‘부딪히다’는 ‘부딪다’에 피동접미사 ‘히’가 결합된 모양이다. 따라서 ‘부딪치다’는 능동, ‘부딪

www.khan.co.kr

 

부딪치다의 의미와 사용법

부딪치다는 능동적인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즉, 주체가 의도적으로 혹은 강한 힘으로 다른 사물이나 사람과 충돌하는 경우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그는 공을 세게 차서 벽에 부딪쳤다"는 문장은 주체가 능동적으로 행동한 결과를 설명합니다.

사용 예시:

  • 아이들이 놀다가 서로 부딪쳤다.
  • 그는 급하게 움직이다가 문에 부딪쳤다.

 

두 단어의 차이점

  1. 의도성: 부딪히다는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발생하는 충돌을 나타내며, 부딪치다는 의도적이거나 능동적인 충돌을 의미합니다.
  2. 문맥: 부딪히다는 주로 사고나 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한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되고, 부딪치다는 주체의 행동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올바른 사용법 정리

  • 부딪히다: 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한 충돌 (예: "차가 나무에 부딪혔다").
  • 부딪치다: 주체의 능동적인 행동으로 발생한 충돌 (예: "그는 친구와 부딪쳤다").

 

부딪히다와 부딪치다는 비슷한 듯하지만, 문맥과 상황에 따라 적절히 사용해야 하는 단어입니다. 이 두 단어의 차이를 이해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면 더 정확하고 세련된 표현이 가능합니다. 앞으로 문장을 작성할 때 이 차이를 기억하며 활용해 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