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입사일과 퇴사일은 이직, 연금 가입, 경력 증명 등 다양한 상황에서 중요한 정보입니다. 이러한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국민건강보험공단 자격득실확인서 활용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자격득실확인서를 통해 입사일과 퇴사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4대 보험 가입 이력을 기반으로 하므로, 해당 기간 동안 건강보험에 가입되어 있었다면 유용합니다.
절차:
-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 | 민원 안내 및 신청 | 정부24
- 로그인 후 '자격득실확인서 발급' 메뉴를 선택합니다.
- 발급된 확인서에서 가입자 구분이 '직장가입자'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취득일(입사일)과 상실일(퇴사일)을 확인합니다.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 | 민원 안내 및 신청 | 정부24
접속량이 많아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잠시 후 다시 접속해주세요
www.gov.kr
만약 상실일이 없다면, 현재까지 재직 중인 상태를 의미합니다.
2. 근로복지공단 고용·산재보험 자격이력내역서 활용
근로복지공단의 고용·산재보험 자격이력내역서를 통해서도 입사일과 퇴사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건강보험공단의 자격득실확인서보다 더 상세한 이력 조회가 가능합니다.
절차:
- 근로복지공단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접속 후 로그인합니다.
- '고용·산재보험 자격 이력 내역서' 메뉴를 클릭합니다.
- 보험 구분에서 '산재보험' 또는 '고용보험'을 선택하고 조회 버튼을 클릭합니다.
- 조회된 내역에서 입사일과 퇴사일을 확인합니다.
이 방법은 이전의 근로 이력까지 확인할 수 있어, 경력 증명 시 유용합니다.
3. 국민연금 가입내역 확인
국민연금 가입내역을 통해서도 입사일과 퇴사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국민연금 가입 이력을 기반으로 하므로, 해당 기간 동안 국민연금에 가입되어 있었다면 활용 가능합니다.
절차:
-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 로그인 후 '가입내역조회'를 선택합니다.
- 조회된 내역에서 가입 시작일과 종료일을 확인합니다.
이 방법은 국민연금 가입 이력을 통해 입사일과 퇴사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퇴사자 경력증명서 발급
퇴사자 경력증명서를 발급받으면 입사일과 퇴사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퇴사 후 발급이 가능하며, 경력 증명 시 유용합니다.
절차:
- 근로복지공단 홈페이지에 접속 후 '퇴사자 경력증명서 발급' 메뉴를 클릭합니다.
-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고 신청을 완료합니다.
- 신청 후 발급된 경력증명서에서 입사일과 퇴사일을 확인합니다.
이 방법은 퇴사한 후에도 경력증명서로 입사일과 퇴사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