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립선비대증 홀렙수술 안전성

by 7토박이 2025. 1. 17.
반응형

전립선비대증은 남성의 전립선이 비대해져 배뇨에 어려움을 겪는 질환으로, 50대 남성의 절반, 60대 남성의 60%에서 발생하는 흔한 비뇨장애입니다.

 

이러한 전립선비대증의 치료 방법 중 하나인 홀렙수술(HoLEP, 홀뮴레이저 전립선종적출술)은 비대해진 전립선 조직을 홀뮴레이저로 완전히 제거하는 방법으로, 출혈이 적고 회복이 빠르며, 전립선의 크기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합니다.

 

배뇨장애 개선 '홀렙수술' 안전성·효과성 과학적 입증 - 의협신문

 

배뇨장애 개선 '홀렙수술' 안전성·효과성 과학적 입증 - 의협신문

비대해진 전립전 조직을 제거하는 홀뮴레이저 전립선종적출술(HoLEP·홀렙수술)이 배뇨장애 개선에 안전하고 효과적이라는 과학적 연구결과가 나왔다.오승준 서울의대 교수팀(서울대병원 비뇨

www.doctorsnews.co.kr

 

홀렙수술의 안전성 및 효과성

서울대병원 비뇨의학과 오승준 교수팀은 2008년부터 2022년까지 3,000명의 전립선비대증 환자를 대상으로 홀렙수술을 시행한 후, 수술 전후의 임상 지표 변화와 삶의 질을 분석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연구 결과, 수술 전 평균 19.3점이었던 국제전립선증상점수(IPSS)는 수술 후 6개월 시점에 6.6점으로 크게 개선되었으며, 배뇨 능력을 나타내는 최대요속(Qmax)은 9.4mL/s에서 22.2mL/s로 증가하여 배뇨 능력이 현저히 향상되었습니다.

또한, 환자들의 92.0%가 치료에 만족한다고 응답했으며, 98.2%는 전반적으로 증상이 개선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합병증 발생률

수술 후 주요 합병증으로는 일시적인 요실금과 방광경부협착 등이 있었으나, 발생률은 기존 연구보다 낮았습니다. 특히, 복압성 요실금 발생률은 6개월 후 1.9%로 나타났으며, 이는 미국과 캐나다의 대규모 연구에서 보고된 수치보다 현저히 낮은 수준입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홀렙수술이 전립선비대증 치료에서 매우 효과적이고 안전한 방법임을 입증하며, 전립선비대증 치료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합니다.

따라서 전립선비대증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환자들에게 홀렙수술은 효과적인 치료 옵션이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