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진은 예고 없이 발생하는 자연재해로, 사전 대비와 신속한 대응이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아래는 지진 발생 시 상황별 대처법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지진 발생 전 준비사항
- 가구 및 장비 고정: 책장, 선반, 가전제품 등을 벽에 단단히 고정하여 전도 위험을 줄입니다.
- 위험물 관리: 화학물질, 인화성 물질 등은 밀폐된 용기에 보관하고, 쓰러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비상용품 준비: 손전등, 응급처치 키트, 식수, 비상식량 등을 포함한 비상용품을 미리 준비해 두세요.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 도움말
지진조기경보 서비스 지진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대피 가능한 시간을 최대한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상청은 보다 빠른 지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지진 조기경보 서비스를 실시하고
www.weather.go.kr
2. 지진 발생 시 실내에서의 대처법
- 몸 보호: 탁자나 튼튼한 가구 아래로 몸을 숨기고, 머리와 목을 손으로 감싸 보호합니다.
- 가스 및 전기 차단: 가스 밸브를 잠그고, 전기 스위치를 끄는 등 2차 사고를 예방합니다.
- 문 열기: 대피 시 문이 열리지 않아 갇힐 수 있으므로, 미리 문을 열어 출구를 확보합니다.
3. 지진 발생 시 실외에서의 대처법
- 넓은 공간으로 대피: 건물, 나무, 전신주 등에서 멀리 떨어져 넓은 공간으로 이동합니다.
- 낙하물 주의: 유리창, 간판 등에서 떨어지는 물건에 주의하며, 머리를 보호합니다.
4. 지진 발생 시 운전 중 대처법
- 속도 감소 및 정차: 진동을 느끼면 도로의 가장자리에 정차하고, 엔진을 끄며, 라디오를 통해 정보를 확인합니다.
- 교차로 통과 주의: 신호등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교차로 통과 시 주의합니다.
5. 지진 발생 후 행동 요령
- 여진 대비: 지진 후 여진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여 여진에 대비합니다.
- 정보 확인: 라디오,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해 지진 정보와 대피 지침을 확인합니다.
- 구조 요청: 필요 시 구조 요청을 위해 휴대폰을 사용하되, 긴급 상황이 아닌 경우 사용을 자제합니다.
6. 지진 대피 시 주의사항
- 차량 이용 자제: 지진 발생 후 도로가 파손되었을 수 있으므로, 차량 이용을 자제하고 도보로 대피합니다.
- 대피소 확인: 가까운 대피소나 안전한 장소를 미리 확인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지진은 예고 없이 발생하므로, 평소에 이러한 대처법을 숙지하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침착하게 행동하여 자신의 안전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