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월세 지원사업 조건

by 7토박이 2025. 1. 21.
반응형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완화하고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는 다양한 월세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대표적인 청년월세 지원사업의 조건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이 사업은 청년층의 월세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월 최대 20만 원을 12개월간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지원 대상:

  • 연령: 신청일 기준 만 19세부터 34세까지의 청년.
  • 거주 조건: 부모와 별도로 거주하는 무주택자.
  • 주택 조건: 임차보증금 5,000만 원 이하 및 월세 70만 원 이하의 주택에 거주.
  • 소득 기준:
    • 청년 본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 원가구(부모 등):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복지서비스>서비스 찾기>복지서비스 상세(중앙) | 복지로

 

https://www.bokjiro.go.kr/ssis-tbu/twataa/wlfareInfo/moveTWAT52011M.do?wlfareInfoId=WLF00004661

 

www.bokjiro.go.kr

 

2.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서울시는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월 최대 20만 원을 12개월간 지원하는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지원 대상:

  • 연령: 신청일 기준 만 19세부터 39세까지의 청년.
  • 거주 조건: 주민등록등본상 서울시에 거주하는 무주택자.
  • 주택 조건: 임차보증금 8,000만 원 이하 및 월세 60만 원 이하의 주택에 월세로 거주.
  • 소득 기준: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의 청년 1인 가구.

 

3. 대전시 청년 월세 지원사업

대전시는 청년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월세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지원 대상:

  • 소득 기준: 가구당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 기타 조건: 상세한 지원 조건은 대전도시공사 공식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 안양시 청년 월세 지원

안양시는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월세 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지원 대상:

  • 거주 요건: 부모와 별도로 거주하는 무주택자.
  • 소득 기준: 청년 가구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 재산 기준: 청년 가구 총재산가액 1억 2,200만 원 이하.

 

신청 방법 및 유의 사항

  • 신청 방법: 각 지자체별 공식 홈페이지 또는 복지로(www.bokjiro.go.kr)를 통해 온라인 신청이 가능합니다.
  • 제출 서류: 주민등록등본, 임대차계약서, 소득 및 재산 증빙서류 등이 필요합니다.
  • 유의 사항: 지원 조건 및 내용은 지자체별로 상이할 수 있으므로, 신청 전에 해당 지자체의 공식 공고문을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청년월세 지원사업은 청년들의 주거 안정과 경제적 부담 완화를 목표로 합니다. 해당 조건을 충족하는 청년들은 적극적으로 신청하여 혜택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