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소방용품의 품질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인증 제도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세 가지 제도는 형식승인, 성능인증, KFI인정입니다. 각 제도의 목적과 특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형식승인
- 목적: 소방용품의 구조와 성능이 소방안전기준에 적합한지 확인하여,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데 기여합니다.
- 대상: 소방용품 중 소방안전기준에 따라 형식승인 대상품목으로 지정된 제품입니다.
- 절차: 제조업체는 한국소방산업기술원(KFI)에 신청서를 제출하고, 기술원은 제품의 설계도서, 시제품 시험 등을 통해 형식승인을 진행합니다.
- 효과: 형식승인을 받은 제품은 소방시설에 설치할 수 있으며, 판매 및 유통이 가능합니다.
[이택구의 쓴소리 단소리] 소방용품 성능인증 제도에 대해:FPN Daily
[이택구의 쓴소리 단소리] 소방용품 성능인증 제도에 대해
이택구 소방기술사ㆍ소방시설관리사(한국소방시설관리사협회장) 우리나라는 성능과 안전성을 확보한다는 취지로 소방용품의 품질과 제조 공정이
www.fpn119.co.kr
2. 성능인증
- 목적: 형식승인 대상품목에 포함되지 않지만, 소방시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제품의 성능을 인증하여 안전성을 확보합니다.
- 대상: 형식승인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소방용품 중 소방시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제품입니다.
- 절차: 제조업체는 KFI에 성능인증을 신청하고, 기술원은 제품의 성능 시험을 통해 인증을 부여합니다.
- 효과: 성능인증을 받은 제품은 소방시설에 설치할 수 있으며, 판매 및 유통이 가능합니다.
3. KFI인정
- 목적: 소방용품 중 형식승인이나 성능인증 대상에 포함되지 않지만, 품질과 성능의 입증이 필요한 제품에 대해 기술원의 자체 규정으로 인정하는 제도입니다.
- 대상: 형식승인이나 성능인증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소방용품 중 품질과 성능의 입증이 필요한 제품입니다.
- 절차: 제조업체는 KFI에 KFI인정을 신청하고, 기술원은 제품의 시험과 평가를 통해 인정을 부여합니다.
- 효과: KFI인정을 받은 제품은 소방시설에 설치할 수 있으며, 판매 및 유통이 가능합니다.
참고사항
- 각 인증 제도는 소방용품의 안전성과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로, 인증을 받은 제품만이 소방시설에 설치되고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인증을 받지 않은 제품은 소방시설에 설치할 수 없으며, 사용 시 법적 책임이 따를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