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539

낙불사촉의 유래 '낙불사촉(樂不思蜀)'은 중국 삼국시대의 촉나라가 멸망한 후, 마지막 황제 유선(劉禪)의 행동에서 유래된 고사성어입니다. 이 표현은 즐거움에 빠져 본분을 잊는 어리석음을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 유래와 배경삼국지 촉서 후주전에 따르면, 촉나라가 위나라에 항복한 후, 유선은 위나라의 권력자인 사마소(司馬昭)와 술자리를 가지게 됩니다.사마소는 옛 촉나라의 음악을 연주하며 촉나라 사람들의 향수를 자극했지만, 유선은 태연하게 웃으며 술자리를 즐겼습니다.사마소가 유선에게 "촉나라가 그립지 않느냐"고 묻자, 유선은 "이곳이 즐거워 촉나라가 생각나지 않는다"고 답했습니다. 이 대답은 당시 촉나라 사람들에게 큰 실망을 안겨주었고, 유선은 결국 조롱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고사성어(故事成語)에서 배우는 교훈-3] 樂不思.. 2025. 5. 2.
캄비세스 왕의 심판 '캄비세스 왕의 심판'은 고대 페르시아 제국의 캄비세스 2세가 부패한 판관 시삼네스를 처벌한 사건에서 유래된 이야기로, 정의와 공정한 법 집행의 중요성을 상징합니다. 이 사건은 역사적 교훈과 함께 예술 작품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사건의 배경기원전 6세기, 페르시아 제국의 판관 시삼네스는 뇌물을 받고 부정한 판결을 내렸습니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캄비세스 왕은 시삼네스를 체포하고, 그의 가죽을 벗기는 잔혹한 형벌을 내렸습니다. 이후 왕은 시삼네스의 아들 오타네스를 새 판관으로 임명하고, 아버지의 가죽으로 만든 의자에 앉아 재판을 보게 했습니다. 이는 부패를 경고하고 공정한 법 집행을 강조하기 위한 상징적 행위였습니다. 왕의 심판[이은화의 미술시간]〈304〉|동아일보 왕의 심판[이은화의 미술시간].. 2025. 5. 2.
논공행상의 뜻 '논공행상(論功行賞)'은 공적을 논의하여 그에 맞는 상을 준다는 뜻으로, 공로의 크고 작음을 평가하여 적절한 보상을 내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사자성어는 공정한 상벌 제도를 상징하며, 조직이나 사회에서 공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원칙으로 여겨집니다. 유래와 역사적 배경'논공행상'은 중국 삼국시대의 일화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오나라의 군주 손권은 위나라를 공격하기 위해 장수 전종을 대장군으로 임명했으나, 전투에서 패배하여 큰 손실을 입었습니다. 이때 오나라의 장수 고승과 장휴가 신속히 지원군을 이끌고 도착하여 위나라의 공격을 막아냈습니다. 전쟁이 끝난 후, 손권은 공적을 평가하여 고승과 장휴에게 적절한 포상을 내렸습니다. 이처럼 공적을 평가하여 상을 주는 것을 '논공행상'이라 합니다. [고사성어] 논공.. 2025. 5. 1.
반응형